덕유산국립공원 소개
덕유산은 1975년, 오대산과 더불어 국내 10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소백산맥이 서남쪽으로 뻗으면서 소백산, 속리산 등을 솟아오르게 한 후, 다시 지리산으로 가는 도중 그 중심부에 빚어 놓은 또 하나의 명산이라고 할 수 있다.
덕유산은 전라북도 무주와 장수, 경상남도 거창과 함양군 등 2개도 4개 군에 걸쳐 솟아 있으며, 총 229.43㎢의 면적이 공원구역으로 지정되었다. 해발 1,614m 해발 1,614m의 향적봉을 정상으로 하여 백두대간의 한 줄기를 이루고 있다. 13개의 대(臺),10여 개의(臺),10 못, 20개의 폭포 등 기암절벽과 여울들이 굽이굽이 이어지는 구천동 계곡은 예로부터 선인들이 이름 붙인 33경으로 덕유산의 아름다움을 대표한다.
백두대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 덕유산국립공원은 동쪽의 가야산, 서쪽의 내장산, 남쪽의 지리산, 북쪽의 계룡산과 속리산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덕유산은 남한에서 네 번째로 높은 산(향적봉 1,614m)으로 아고산대 생태계의 보존가치 또한 높으며, 북쪽으로 흘러가는 금강과 동쪽으로 흐르는 낙동강의 수원지이기도 하다.
덕유산(1,614m)은 주봉인 향적봉을 중심으로 1,300m1,300m 안팎의 장중한 능선이 남서쪽으로 장장 30여 km30여 km를 달리고 있으며 그 가운데 덕유산 주봉을 비롯해서 동쪽에는 지봉, 북쪽에는 칠봉이 자리하고 있는데 덕유산은 덕이 많은 너그러운 모산이라 해서 덕유산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덕유산국립공원 지역의 지질은 선캄브리아대 변성암류인 편마암을 기반으로 하여 이를 관입한 중생대의 화성암류 및 퇴적암류를 주체로 하고 있다. 또한 제4기의 충적층과 백악기의 석영반암, 흑운모화강암, 사암, 셰일, 석영안산암층을 이루고 있다. 덕유산 향적봉에서 남덕유산까지 고산부가 육중하고 부드럽게 유려하고 자대한 산세를 갖게 된 것도 이러한 편마암 지질 형태 때문이다.
덕유산국립공원사무소
주소 : 전북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 1로 159
연락처 : 063-322-3174
덕유산국립공원 깃대종
깃대종이란?
생태계의 여러 종 가운데 사람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종이다. 또 그 중요성으로 인해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생물종을 일컫는다.
구상나무 Abies koreana (한국 특산식물)
영문명 : Korean Fir
사는 곳 :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등.
생김새 특징 : 늘 푸른 침엽의 큰 키나무. 가문비나무와 구분하기 어려우며 구상나무는 잎끝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감. 열매의 색깔에 따라 검은 구상,붉은 구상, 푸른 구상으로 구분함. 잎 뒤는 흰빛.
생태적 특징 : 4월에 길게 늘어진 노란색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지리산국립공원에서는 산 정상이 아닌 산록부 양지바른 지역에서 관찰됨. 추운 지방에 사는 나무로 온난화가 지속되면 점차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함. 서유럽에서 크리스마스트리로 인기가 많은 나무임.
금강모치 Moroco kumgangensis
영문명 : Kumgang Fat Minnow
사는 곳 : 한강의 최상류, 금강의 무주 구천동 계곡 등. 물이 차고 물속 산소가 풍부한 산간계류
생김새 특징 : 몸길이 7~8cm로 등지느러미가 시작되는 지점에는 검은색의 반점이 있음. 산란철에는 수컷의 몸 양쪽에 두 줄의 주황색 줄이 나타남.
생태적 특징 : 깊은 산 맑고 차가우며 산소가 풍부한 물에서 삶. 한강, 임진강, 대동강 등의 서해로 흐르는 강에서만 서식
먹이 : 물속의 작은 곤충이나 작은 갑각류, 동물성 플랑크톤
출처 : 국립공원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