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리산국립공원 소개
1970년 6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예로부터 제2 금강2 또는 소금강이라 불릴 만큼 경관이 빼어나다. 총 면적 274.766k㎡에 달하는 속리산국립공원은 충북과 경북의 여러 지역에 걸쳐 바위로 이루어진 산으로, 주요 봉우리인 천왕봉과 비로봉, 문장대는 백두대간의 장엄한 산줄기를 잇고 있어 암봉과 암릉이 잘 발달되어 있다. 속리산에는 많은 산들이 접해 있으며, 남쪽의 천왕봉(1,058m)을 중심으로 비로봉, 문장대, 관음봉 등 8개의 봉우리가 활처럼 휘어져 뻗어나간다.
한국팔경 중의 하나인 속리산은 태백산맥에서 남서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소백산맥 줄기 가운데 위치하고 있으며, 남북으로 백두 대간이 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천왕봉에서 한남금북 정맥이 분기하고 있으며, 행정구역상으로 충북 보은군, 괴산군, 경북 상주시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해발 1057m인 속리산은 화강암을 기반으로 변성퇴적암이 섞여 있어 화강암 부분은 날카롭게 솟아오르고 변성퇴적암 부분은 깊게 패여 높고 깊은 봉우리와 계곡은 가히 절경을 이루고 있어 광명산(光明山), 미지산(彌智山), 소금강산(小金剛山)으로 불리기도 한다. 속리산국립공원 및 주변은 고생대층, 중생대의 화성암류, 신생대의 고기하성층과 충적층이 분포하고 있다. 고생대층으로는 저변성작용을 받은 변성퇴적암류로 화전리층과 황강리층이 분포하고 있고, 특히 황강리층은 군자산 일대와 소금강 일대에 널리 분포하여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다. 중생대의 화성암류 중 반상화강암은 공원의 중북부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어, 화양계곡의 파천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고기하성층은 법주사일대와 화양계곡 등에서 하천과 계곡 저지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화강암의 기봉(奇峰)과 산 전체를 뒤덮은 울창한 산림은 천년고찰 법주사와 잘 조화되어 승경(勝景)을 이루고 있다. 최고봉인 천왕봉(天王峰)을 중심으로 비로봉(毘盧峰), 길상봉(吉祥峰), 문수봉(文殊峰)등 8봉과 문장대(文藏臺), 입석대(立石臺), 신선대(神仙臺) 등 8대 그리고 8석문(石門)이 있다.
법주사지구 학소대 주변 은폭동(隱瀑洞)계곡, 만수계곡, 화양동지구 화양동계곡, 선유동계곡, 쌍곡계곡과, 장각폭포, 오송폭포(五松瀑布)등의 명소가 있으며, 정이품송(正二品松천연기념물 제103호), 망개나무(천연기념물 제207호) 등 1,055종의 식물과 까막딱다구리(천연기념물 제242호), 하늘다람쥐(천연기념물 제328호) 등 희귀 동물을 포함하여 1.831종의 동물이 서식하고 있는 자연자원의 보고(寶庫)이기도 하다.
속리산에 들어가면 속세를 잊게 된다. 산과산들이 겹겹이 펼쳐놓은 절경을 통해 속세의 아름다움도 더불어 깨닫게 되는 산 또한 속리산이다. 속리산 국립공원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여름,가을, 특징이 뚜렷이 드러나는 곳이다. 법주사지구, 화양동지구, 화북지구, 쌍곡지구 네 지구로 구분이 되어 있는 속리산에서의 사계절 탐방코스는 봄, 가을에는, 문장대, 천왕봉, 도명산, 칠보산, 군자산을,천왕봉,도명산,칠보산, 탐방할 수 있고, 여름에는 화양/선유/쌍곡계곡을, 겨울에는 천왕봉 코스의 펼쳐진 설원이 장관을 이루는 곳이다.
속리산국립공원 깃대종
깃대종이란?
생태계의 여러 종 가운데 사람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종이다.
또 그 중요성으로 인해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생물종을 일컫는다.
망개나무 Berchemia berchemiaefolia (천연기념물 제207호, 제266호)
영문명 : Korean Berchemia
사는 곳 : 충북 및 경북(속리산, 월악산, 주왕산 등).
생김새 특징 :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으로 잎 가장자리에 밋밋한 물결모양이 있음.
생태적 특징 : 흙이 많지 않은 바위지대에서 자람. 나무가 매끈하고 불에 잘 타기 때문에 과거 농업용 도구를 만들거나 땔감으로 사용됨.
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천연기념물 제328호)
영문명 : Siberian Flying Squirrel
사는 곳 : 전국 산림이 비교적 양호한 지역의 나무 위.
생김새 특징 : 몸길이 15~16cm로 몸은 회갈색. 앞발과 뒷발 사이에는 피부가 이어져 커다란 날개처럼 된 비막이 있음.
땅에서는 엉금엉금 기어 다님.. 나무 사이를 오갈 때 비막을 이용해 행글라이더처럼 기류를 타고 이동함.
생태적 특징 : 새끼는 딱다구리가 파 놓은 구멍이나 인공 새집 등을 이용하기도 하며, 집을 만들기도 함.
야행성으로 낮에는 나무 구멍에 들어가 잠을 잠. 겨울잠을 자지 않음.
먹이 : 잣, 도토리, 과실, 나무의 싹, 어린 나뭇가지 등
2023.04.20 - [분류 전체보기] -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알아보기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알아보기
국립공원이란? 자연을 활용가능한 자원에서 보전의 대상으로 생각하자는 뜻이다. 국립공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자연생태계화 자연·문화 경관의 보전을 전제로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
mazzania.tistory.com
2023.05.15 - [분류 전체보기] - 국립공원 5번째 지정 설악산국립공원 소개
국립공원 5번째 지정 설악산국립공원 소개
설악산국립공원 소개 1970년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65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설악산국립공원은 398.237㎢에 이르는 광대한 면적에 수많은 동식물들이 함께 살
mazzania.tistory.com
국립공원TV 유튜브 속리산국립공원 온라인 탐방 가이드
출처 : 국립공원홈페이지, 국립공원TV 유튜브